Author: FlyingN

스크린의 기록영화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 (2011)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 (2011) – 나쁜 놈 중 가장 나쁜 놈이 살아남는다 flyingneko.egloos.com/3803898 하정우라는 배우가 출연하는 영화를 기대하지

Read More
스크린의 기록영화탐구생활

코엔 형제 (3) – 바톤 핑크 (Barton Fink, 1991)

[코엔 형제] (3) 모호한 것은 모호한 대로 <바톤 핑크(Barton Fink, 1991)> flyingneko.egloos.com/3803174 <바톤 핑크>는 코엔 형제의 네 번째 장편 연출작이다.

Read More
스크린의 기록영화

내가 사는 피부 (La Piel Que Habito, 2011)

내가 사는 피부 (La Piel Que Habito, 2011) – 잔인하고 슬픈, 괴기한 복수극 http://flyingneko.egloos.com/3796100 언젠가 복수의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유치하게는 밀가루와 계란을 던진다든지 머리에 껌을 붙인다는 것부터 스토킹이나 흥신소의 이야기도 나왔던 것 같다. 그 때 생각한 가장 잔인한 복수 방법은 그 사람을 사회적으로 매장시키는 것이었다. 물리적인 해코지 없이 주민등록번호를 없애 버리면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없는 사람이 되지 않을까 했다. 살아 있어도 존재하지 않는 존재로 만든다는 것 만큼 잔인한 복수 방법은 없다. <내가 사는 피부>는 한마디로 정리가 되지 않는 영화다. ‘다른 모든 것에는 개입하면서 왜 과학의 진보에는 사람을 쓸 수 없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생명 윤리에 대한 고민을 건드리는 것 같다가 이내 다른 이야기로 전환된다. 성형외과 의사인 로버트의 집에 사는 베라는 누구일까. 낯설지 않은, 아름다움에 대한 그릇된 집착의 이야기일까. 피부색의 전신 스타킹을 신은 베라와 로버트의 이상한 관계는 궁금증을 증폭시킨다. 로버트는 자신의 배다른 동생 제카에게 아내를 빼앗기고도 불 속에서 아내의 목숨을 구해낸다. 그러나 화상으로 망가진 자신의 외모를 본 아내 갈은 딸 놀마가 보는 앞에서 투신 자살을 한다. 딸 놀마 역시 자살하고, 로버트는 놀마의 강간범인 비센테를 쫓아가 납치한다. 그리고 그를 사회에서 완전히 지워버린다. 숨을 쉬지만 살아있지 않는 존재로 만들어버림으로써, 가장 치밀하고 완벽한, 그리고 잔인한 복수를 한다. 영화는 현재와 과거를 오간다. 로버트의 아내와 딸을 오가며 집착인지 사랑인지 모를 집요한 감정이 그의 얼굴에 새로운 피부처럼 자리잡아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윤리적 양심이 존재하지 않는 얼어붙은 그의 심장은 그가 사랑했던 사람을 다시 만들어 내는것 하나에 위태롭게 매달려있다. 자신이 낳은 아이들을 자식이라 부르지 못하고 평생을 살아온 마릴리아는 로버트의 곁을 지킨다. 그를 도우면서도 양심을 잊지 않으려는 듯 목에는 큰 십자가가 걸려있다. 정상으로 보이는 그녀 역시 자신의 다른 아이를 죽이고 태워 없애는 로버트의 모든 행동을 수용하는, 비정상적인 애착을 가지고 있다. 결국 그 별장 안에 정상적인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프랑켄슈타인>과 <페이스오프>를 연상시키는 이 영화는 그릇된 애정과 집착에서 비롯된 잔인한 복수극이다. 섬뜩하면서도

Read More
스크린의 기록영화탐구생활

코엔 형제 (2) – 아리조나 유괴 사건 (Raising Arizona, 1987)

[코엔 형제] (2) 거친 가족 코미디 <아리조나 유괴 사건(Raising Arizona, 1987)>  http://flyingneko.egloos.com/3794869 넋이 나간 표정의 니콜라스 케이지가 스타킹을 반쯤 뒤집어 쓴 채 총알 사이를 뛴다. 방긋 웃는 아기를 옆에 태운 화가 잔뜩 난아내 홀리 헌터는 밤거리를 질주하다 니콜라스 케이지를 차에 태운다. 역성을 내며 운전하는 아내와 언쟁하면서도 길을 알려주고 문을 열어 떨어뜨린 기저귀를 줍는다. 넋 나간 니콜라스 케이지만큼 영화를 보다 보면 넋이 나간다. 탈옥수 남편과 경찰 아내는 사랑에 빠져 결혼을 하지만 아이를 가질 수 없다. 입양도 할 수 없는 상황에 절망하는데 마침 지역사업가에게서 다섯 쌍둥이가 태어났다는 뉴스를 접한다. 한 명쯤은 우리가 데려와도 괜찮을 거라며 부부는 유괴를 감행하고 이를 쫓고 쫓기는 과정을 그렸다.  사실 아이를 가질 수 없어 유괴하는 부부나 현상금을 노린 탈옥수, 현상금 사냥꾼, 자신의 지위를 활용해 부당한 요구를 하는 고용주와 같이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행동이나 설정은 매우 거칠다. 그러나 캐릭터들의 덜떨어진 표정과 행동, 어떤 상황에서도 해맑게 웃는 아기가 거부감을 줄인다. (하긴, 요즘의 미국식 코미디 영화에 비하면 그리 거칠다고 볼 수도 없을 것 같다) 코엔 형제의 두 번째 영화이자 첫 상업 영화였지만 예산이 넉넉하지 않은 상황에서 형제는 모든 숏들을 사전에 꼼꼼하게 짰다고 한다. 우연처럼 보이는 장면들조차 즉흥적으로 연출된 것은 없다고 하니 놀랍다. 이전 작품에서 긴박감을 조성하기 위해 활용된 카메라워크는 <아리조나 유괴 사건>에서 아기를 맞이하는 설렘과 긴장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같은 숏을 여러 번 활용해 반복된 수감 생활을 표현하고, 같은 노래를 다른 분위기로 여러 번 활용한 것도 상황을 표현하는 데 여러모로 효과적이었다. (예산을 줄이는 데 기여했을 지도 모른다.) 

Read More
스크린의 기록영화탐구생활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The Girl With the Dragon Tattoo, 2011)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The Girl With the Dragon Tattoo, 2011) – 실종 사건을 둘러싼 스릴러, 용 문신을 한 소녀의 사랑 이야기  flyingneko.egloos.com/3793403 

Read More
스크린의 기록영화

퍼펙트 호스트(The Perfect Host, 2010)

퍼펙트 호스트 (The Perfect Host, 2010) – 나만의 세계를 찾은 불청객을 맞이하는 (비정상적인) 방법  flyingneko.egloos.com/3789878  문을 들어서는 순간, 쓰고 있던 가면과 옷을 벗어 던지고 의자든, 침대든 몸을 누인다. 타인의 시선이나 기대에 따라 행동할 필요도 없고, 그저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있을 수 있는 곳, 자신이 가장 살아있다고 느낄 수 있는 그 곳은 바로 집이다. 집은, 특히 혼자 사는 사람에게, 외부와는 철저하게 단절된 나만의 세계다. 외부와는 다른 공기와 시간이 흐르는 이 곳의 문 앞에 서 있는 불청객은 쉬이 환영 받지 못한다. 문이 열리는 순간 투명한 물이 담겨있던 컵 속으로 검은 잉크 한 방울이 떨어진다. 잉크는 이곳저곳으로 퍼지며 투명한 공기의 흐름을, 물을 흐린다. 존은 경찰에 쫓기고 있다. 절고 있는 다리에서는 피가 흐르고 있다. 어찌된 영문인지 은행을 털었다는 그의 손에 돈가방은 들려있지 않고, 설상가상 소독약을 사러 들어간 가게에서는 강도를 만난다. 우체통을 뒤져 ‘줄리아’가 보낸 엽서로 이야기를 지어내며 월윅의 집으로 들어가려 한다. 고민하던 월윅은 그만의 세계에 불청객을 받아들이기로 한다. 그리고 그가 준비하던 저녁 파티에 그를 초대한다. 시간이 지나도 손님은 오지 않는다. 라디오에서 용의자 존에 대한 뉴스가 흘러나오고 존은 부엌에서 칼을 집어 든다. 걸음걸이부터가 심상치 않았던 월윅은 피가 흐르는 존의 다리를 보고 자신이 처리하겠다며 피가 흐른 바닥을 닦아댄다. 이 사람, 정상은 아니다. 정상이 아니기에 가능한걸까? 월윅은 오히려 그의 세계로 불청객의 등을 민다. 어디 한번 섞여 보라고 흔들어 대는 가운데 존은 틈이 보이지 않은 공기 틈으로 숨을 쉬려 한다. 죽지 않을까, 죽여야 살지 않을까, 몇 번이나 탈출을 시도하지만 쉽지 않다. 들어오는 건 자유라도 나가는 건 주인 마음이다. 끝내 월윅의 세계에 섞이지 못한 불청객은 쓰레기와 함께 집 앞에 버려진다. 불청객이 없었다면 누구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고 자신의 세계에서 즐거운 하룻밤을 보냈을 월윅은 세상에 잘 섞이기 위해, 자신의 배역을 잘 수행하기 위해 약을 털어 넣는다. 자신의 어긋난 욕망은 사회에서 용인되지 않지만, 자신의 역할극은 잘 숨겨온 욕망을 실현시키는 데 필요한 물질적 요건을 충족시키는 수단이다. 월윅의 집은 그 간극을 메우는 중요한 공간이다. 그런 공간을 찾은, 그리고 불평을 하는 불청객 뒤로 쏟아낸 ‘여기서 죽어도 모르는 너는 쓸모 없는 존재’라는 비난은 어쩌면 자신을 향한 것인지도 모른다. 어찌 되었든 월윅은 주인으로서 끝까지 그 나름의 친절을 베푼다. 여러 섬들이 바다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것 같지만, 섬 안에서는 자체의 생태계가 존재한다. 사람과 사회의 관계도 비슷하다. 섬의 생태계든 개인의 세계든 의도치 않게 그 곳에 발을 들인 불청객을 경계하기 마련이다. 친절이라는 가면으로 거리를 두며 방어를 할 수도 있었지만, 이런 점에서 월윅은 (다중인격으로) 미쳤을지언정 순진해 보인다. 나는 누군가를 집에서의 저녁 식사에 초대할 수 있을까? 약을 털어 넣는 그를 보며 언젠가부터 방어와 경계로 타인을 대하는 나를 반성해본다.

Read More
스크린의 기록영화탐구생활

코엔 형제 (1) – 분노의 저격자 (Blood Simple, 1984)

[코엔 형제] (1) 형제의 데뷔작 <블러드 심플(Blood Simple,1984)>  flyingneko.egloos.com/3789168  우연히 코엔 형제의 최근작 몇 편을 (그들의 작품이라고 의식하고) 보게 되었다. 호불호가 갈리는 코엔 형제와 그들의 작품을 두고 솔직히 나는, 적어도 아직까지는, ‘불호‘의 편에 더 가깝다. 웃자고 만든 영화라면 웃고 넘어갈 수 있어야 하는데 키득거림 뒤에 오는 허탈감이, 이들은 도무지 삶에 대한 애정이라곤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마저 들었다. 그래서 찾아보기로 했다. 그들의 초기작부터 지금까지의 작품을 보다 보면 (그리고 조사를 하다 보면) 이들이 꾸준히 영화를 만드는 이유를, 그리고 이들의 영화를 꾸준히 찾는 이유를 알게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냥 기호가 맞지 않는 것이라고 해도 어쩔 수 없다. 보다 보면 알게 되겠지.   ***   코엔 형제의 데뷔작이자 온전히 자신들의 의도대로 제작된 <블러드 심플>에는 느와르라는 장르 안에서 스릴러와 코엔 형제식의 코미디가 혼재한다. 피가 튀는 긴박한 상황에서 영화 속 캐릭터들이 우왕좌왕하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관객은 으레 그들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다는 우월감에서 오는 쾌감을 느끼기 마련인데, 형제는 이를 비튼다.   결혼기념일에 총을 선물 받은 아내 애비는 도망을 결심하고 그런 그녀를 남편의 가게에서 일하는 레이가 돕는다. 사립 탐정 비써는 잠자리를 같이한 둘의 사진을 남편 마티에게 건네고, 이에 살인 청부 의뢰를 받은 비써는 애비와 레이의 집에 잠입한다. 그 후 비써는 마티에게 총에 맞은 그들의 사진을 건네지만 죽은 줄 알았던 레이는 마티의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낸다. 유유히 자취를 감추려고 했던 비써는 실수로 남긴 자신의 흔적을 지우려 되돌아온다. 엇갈리는 이들은 영문도 모르고 서로에게 총부리를 겨누고 쫓고 쫓긴다. 죽었다고 생각한 등장 인물이 멀쩡히 살아 있는가 하면, 죽지 않을 사람이 죽는다. 영화 속 인물들보다 한 발 앞서 있다고 생각한 관객 역시 뒤통수를 맞기는 마찬가지이다.   보이는 것을 믿게 만들고는 믿는 순간 뒤집는 형제의 이야기는 첫 영화라고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노련하다. 동시에 상황과 장면이 만들어내는 부조리가 스릴러의 무거움을 덜고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연출한다. 화가 치솟은 마티의 뒤로 지직대는 네온 사인에 움찔하고, 애비와 레이의 말다툼 중 창문을 향해 날아드는 신문에 깜짝 놀라게 된다.샘 레이미의 영향이 컸다는 낮고 빠르게 움직이는 카메라워크로 독특한 긴장감을 만들어내면서도 전체적인 분위기는 그리 무겁지 않다. 그들은 그들이 목표한 대로 저예산으로 독립적이면서도 예술 영화가 아닌 계속되는 스릴과 예상하지 못한 즐거움을 주는 ‘B급 영화‘를 성공적으로 만들어냈다.  

Read More
영화

2011년의 영화 + 2012년에는

2011년의 영화 몇 편과 2012년의 (영화에 대한) 간략한 다짐 http://flyingneko.egloos.com/3788769 순서에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고(본 순서일 가능성이 높다), 좋았던 영화들은 언젠가 짧게라도 감상을 남기고 싶다. 이미 감상문을 남긴 영화는 제목에 링크를 걸었다. 좋아서 기억에 남는 열 편 <오슬로의 이상한 밤 (O’ Horten, 2007)> 연출: 밴트 해머(Bent Hamer) 출연: 바드 오베(Baard Owe), 에스펜 스콘베르그(Espen Skjonberg)

Read More
스크린의 기록영화

셜록 홈즈: 그림자 게임(Sherlock Holmes: A Game of Shadows, 2011)

셜록 홈즈: 그림자 게임(Sherlock Holmes: A Game of Shadows, 2011) – 전작과 비슷한 재미+약간의 아쉬움 http://flyingneko.egloos.com/3785890 심각한 1인 추리보다는 세련된 영상과 음악, 경쾌한 액션으로 즐거움을 선사했던 가이 리치 연출의 <셜록 홈즈>가 두 번째 시리즈로 돌아왔다. 시리즈에서 구축한 셜록 홈즈의 세계의 틀 안에서 충실하면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시리즈를 꽤 선보이는 데 괜찮은 성과를 거둔 것 같다. 이번 <셜록홈즈: 그림자 게임>에서는 전작의 내용, 전개, 캐릭터, 연출, 음악 등을 모두 비슷하게 가지고 왔다. 악의 군주 ‘블랙우드’ 경의 세상을 집어 삼키려는 야욕을 저지한다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모리어티 교수의 세계 전쟁 발발 계획 (혹은 무기 장사)를 저지하고 정의를 구현한다는 내용으로 육감적인 추리와 온몸을 던지는 액션으로 무장한 셜록-왓슨 히어로 콤비의 활약상을 그렸다. 셜록의 활약상으로 시작한 영화가 셜록의 아파트를 거쳐 사건 장소로 옮겨 다니고 대규모의 폭발신과 셜록의 위기와탈출 등 영화의 전개는 전작과 순서마저 비슷하다고 느껴질 정도이다. 나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전작을 재미있게 봤다면 익숙한 틀 안에서 다른 점을 찾아내며 또다른 재미를 찾을 수 있다. 영상 측면에서도 고속 카메라를 이용한 초저속 모션으로 표현된 셜록의 액션 추리는 이번 작품에서도 감상할 수 있다. 나아가 정교한 CG와 동적인 카메라워크로 시간을 역행해 사건의 전말을 설명하는 열차 시퀀스나 총탄이 옷을 스치는 아찔함을 묘사한 장면들은 눈여겨볼만하다. 또한 이번 작품 역시 한스 짐머가 음악을 담당해 채도가 낮은 화면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 이번 작품에서 한 가지,

Read More
error: Content is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