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fan

그곳에서영화

영화제의 기억, 그리고 코로나 시대와 이후의 영화제

영화, 영화제의 기억– 그리고 코로나 시대와 이후의 영화제 온 식구가 함께 보는 거실 TV에 용돈을 모아 빌려온 비디오 테이프를 넣고

Read More
그곳에서스크린의 기록영화

[PiFan 2013] 미이케 다카시의 ‘악의 교전 (2012)’, ‘짚의 방패 (2013)’

[PiFan 2013]  악의 교전 (2012), 짚의 방패 (2013) – 미이케 다카시의 두 사이코패스 http://flyingneko.egloos.com/3973196 언젠가부터 영화 속 “연쇄살인범=사이코패스”라는 설정이 주를 이룬다. 사이코패스란, (정의나 범위에

Read More
그곳에서스크린의 기록영화

[PiFan 2013] 페인리스 (Insensibles, Painless, 2012)

[PiFan 2013] 페인리스 (Insensibles, Painless, 2012) http://flyingneko.egloos.com/3968944 1930년대 스페인의 한 마을, 태어날 때부터 어떠한 신체적 고통도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이 발견된다.

Read More
그곳에서스크린의 기록영화

[PiFan 2012] 안전은 보장할 수 없음 (Safety Not Guaranteed, 2012)

[PiFan 2012] 안전은 보장할 수 없음 (Safety Not Guaranteed, 2012) http://flyingneko.egloos.com/3863975 제목만 얼핏 보면, 좀비가 떼로 나올 것 같다. <안전은 보장할 수 없음>이라니. 거기다 ‘조금 괴상한 슈퍼마켓 직원 케네스. 그에겐 엄청난 비밀이 숨겨져 있었다’라는 카탈로그의 소개글도 오해의 소지가 있지 않은가. 그래서 주말의 시작에 끄악대는 영화를 보러 가는 게 정신 건강에 과연 좋을 것인지 심히 고민했다. (결국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허둥지둥 택시까지 동원했다.) ‘안전은 보장할 수 없음’은 영화 속 신문의 구인 광고에 등장하는 문구이다. 요컨대 시간 여행에 함께할 사람을 구하는데,  각자의 몸은 각자 지키자는 것. 이를 취재하기 위해 기자와 인턴 둘이 길을 나서는데, 이 시점에서도 언제 나올지 모른 좀비와 <백투더 퓨처>급 시간 여행에 대한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었더랬다. 그런데, 아주 마지막에서야 시간 여행과 관련된 장면이 등장한다. 오히려 이 영화는 케네스와 다리어스,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로드 무비이자 성장기에 가깝다. 건들거리며 세상을 다 아는 척하던 제프가 몇 십 년만에 만난 옛 애인에게 차이고 범퍼카에서 울먹거릴 때는 웃음이 나오다가도, 현실의 벽에 부딪혀 최악만을 생각하며 산다는 다리어스가 희망을 되찾아가고 세상에 대한불신과 단절 속에서 케네스가 한걸음 내디딜 때 괜히 가슴이 벅차 오른다. 사람과 부딪히며 받은 상처를, 그리고 생겨날 상처들을 나름의 방식으로 피하고 모른 척하던 이들이 서로를 마주하는 순간, 등장 인물들과 같이 관객의 마음마저 누그러진다.

Read More
그곳에서스크린의 기록영화

[PiFan 2012] 샤이닝: 237호의 비밀 (Room 237, 2012)

[PiFan 2012] 샤이닝: 237호의 비밀 (Room 237, 2012) http://flyingneko.egloos.com/3866476 몇몇 매니아층이 두터운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이야기할 때 종종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덕 중 최고는 양덕’이라는 말을 나누곤 했다. 이 영화는 스탠리 큐브릭의 작품 세계도 아니고 <샤이닝> 한 편에 100분을 고스란히 쓰겠다는 의지를 담은 제목에서부터 심상치가 않다. 개인적으로는 최근에야 본 <샤이닝>은 ‘놀지 않고 일만 하다가는 미친놈(…)이 된다’는 훌륭한 교훈과 독특한 미장센이 인상적인 영화였는데, 이 영화에 대한 집요한 추적이라니 소개부터 궁금증을 유발하기 충분했다. 뚜껑을 열어보니 단순히 영화 <샤이닝>에 대한 추적이나 조사가 아니라, 정말 말 그대로 ‘집요한’ 추적과 추측, 그리고 큐브릭에 대한 경외로 이루어진 영화였다. 가설을 소개한 인터뷰와 더불어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들을 짜깁기해서 전개되는 영화에 실소를 금하지 못하며 허무맹랑한 추측이라는 생각으로 보다가도, 그 예상을 뛰어넘는 진지함에 ‘정말 그런 의도였어?’라는 의구심에서 ‘오 그런 의미였군’의 과정으로 발전된다. 예컨대 식료품 저장고에서 배경에 아주 잠깐 보이는 Calumet이라는 베이킹파우더 캔으로부터 ‘이 영화는 인디언 (학살)에 대한 영화’라는 가설을 던지고 추적해나가는 과정을 보자면, 호텔이 인디언을 묻은 곳 위에 지어졌다든지, 호텔 벽에 걸려 있는 인디언의 초상화며 여러 문양들을 보여주는 것까지는 어느 정도 수긍을 하다가도 영화 후반부에 잭이 미쳐 날뛸 때 캔의 로고가보이지 않게 흐트러진 것은 평화 조약이 깨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이야기에 허무한 웃음이 나오기까지 한다. 반면에 대니가 입고 있는 셔츠의 ’42’라는 숫자와 잭의 독일제 타자기, 독수리 마크, 피바다가 되는 복도 장면을 보며 나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암시가 포함되어 있다는 가설은 묘하게 설득력이 있어, 인디언 학살에 대한 것마저 그럴지도 모른다는 수준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거기다 스키 시즌에 열지도 않는다는 호텔에 스키 포스터가 걸려있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다가 그리스 신화의 미노타우로스와 테세우스의 이야기를 생각하는 이들을 보며 감탄을 금할 수 없게 된다. 대체 영화를 얼마나 여러 번 봐야 저 정도의 감상이 가능해지는 지에 대한 생각은 어느 순간 영화를 어떻게 보느냐의 문제로 바뀐다. 영화 장면장면을 프레임별로 끊어서 아주 천천히 돌려보는데, 의자나 벽에 있던 그림이 없어진 것을 찾아내는 것부터, 디졸브되는 부분에서 짐더미와 사람들이 겹치는 것이 나치 하의 유대인 수용소를 연상시킨다는 부분이며 오프닝 크레딧이 올라간 직후 구름에서 큐브릭 얼굴이 보인다는 가설로부터 얻은 결론은, 이들의 덕력(…)은 상상을 초월한다는 것, 그리고 범(凡)인인 나로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들의 목표는 일반 관객이 아닌 ‘아이큐 200의 스탠리 큐브릭’이니. 숱한 가설들을 염두에 두고 영화를 만든 걸까? 큐브릭은 정말 천재일지도 모른다. 혹은, 특정 관객들이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일수도 있다. 전자든 후자든 한 영화가 이리도 여러 명의 ‘잭’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사실에서, 소품 하나하나 허투루 쓰지 않고 보면 볼수록 다르게 보이는 작품을 만든 감독의 능력에 경외심마저 생긴다. (그리고 덕 중 최고는 양덕인 것 같다…!) *** 제목: 샤이닝:

Read More
error: Content is protected